라벨이 GeekBench6인 게시물 표시

M1 및 모든 애플실리콘 긱벤치 측정 | All Apple Silicon with GeekBench6

이미지
GeekBench 아시지요?  GeekBench에 대해 긱벤치(GeekBench5)에 대해서는 잘 알고 계시지요. 지난 2월14일에 Geekbench 6이 발표되었습니다. 뭐 거창한 새로운 기능을 여기서 설명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IT기기-노트북, 타블릿, 아이폰, 갤럭시 등 신제품을 발표할 때 타사나 자사의 기존 제품과의 나아진 성능을 이야기할 때 꼭 나오는 내용이 긱벤치의 성능 측정 자료입니다. 그만큼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이유이겠지요. 오늘은 저의 소중한 M1 맥북에어에 대한 측정을 다른 매체를 통해서는 익히 봤지만 직접 해본적은 없었습니다. 이번에 새로 출시한 기념으로 긱벤치를 통해서 측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면서 제 맥북에어의 성능을 다시 한번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마침 긱벤치 홈페이지에 현재까지 나온 모든 애플 실리콘 맥(M1, M2, M1Pro, M2Pro, M1 Max, M1 Ultra) 의 모든 측정 자료가 게시 되었기에 이에 대한 정보도 추가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GeekBench 측정 개요 Primate Labs에서 만든 긱벤치는 윈도우, 맥, 안드로이드, 아이폰까지 측정을 지원하여 다양한 기기간의 성능 측정 비교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그중에서 우리가 참고로 볼 내용은 멀티코어와 컴퓨팅에 대한 벤치마킹입니다. 긱벤치의 멀티코어 (MultiCore)  벤치마크는 사진 편집, 음악 재생, 증강 현실, 기계 학습 등에서 (CPU의) 성능을 표현하고 긱벤치의 컴퓨팅 (Compute)  벤치마크는 게임, 이미지 처리, 비디오 편집 등 (GPU의) 성능을 표현합니다. GeekBench 측정결과(My M1 MacbookAir) 제가 가지고 있는 M1맥북에어(2020년 13형)로 긱벤치 측정 방법부터 결과까지 이어서 보겠습니다. 이 글의 제일 마지막에 있는 전체 애플실리콘 측정결과를 보면 제 M1맥북에어는 멀티코어기준으로 8298로 나오는데 저는 조금 낮게 나오는군요. 이 차이는 제 경우에는 각종 프로그램